사람이 내뿜는 빛 정체 밝혀진다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7,245회 작성일 05-08-10 16:16

본문

《부처나 예수와 같은 성자의 그림에서 뒤에 훤한 빛이 둘러싸 여 있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. 몸 뒤에서 발하는 빛이라는 의 미로 ‘후광(後光)’이라 불린다. 종교의 영역에서 관심을 끌 만한 이 후광을 이론물리학자가 탐구하고 있어 화제다. 서울대 물리학과 소광섭 교수다.》

 지난달 26일부터 3일간 연세대에서 한일 공동 주최로 열린 ‘국제 생명정보과학 학술대회(ISLIS)’에서 소 교수 연구팀은 ‘생명의 빛’이란 뜻의 ‘바이오포톤’ 개념을 소개하고 이를 이용한 간편한 ‘건강진단 장치’의 가능성을 제시해 화제를 모 았다. 바이오포톤은 생명체란 뜻의 ‘바이오(bio)’와 빛 알갱 이, 즉 ‘광자(photon)’의 합성어다.



 빛은 입자이면서 파동인 이중성을 갖는다. 그런데 빛을 입자 의 측면에서 파악하면 우리 눈에 한번에 들어오는 빛(가시광 선) 속에는 수천만개의 광자가 포함돼 있다.



 흥미로운 점은 생명체도 광자를 뿜어낸다는 것. 소 교수는 “예를 들어 손바닥에서 초당 수백개의 광자가 나오고 있다” 며 “밝기로는 별빛의 1만분의 1보다 약해서 우리 눈에는 관측 되지 않는다”고 설명했다.



 여기까지는 사실 소 교수가 독창적으로 발굴한 내용이 아니 다. 바이오포톤의 개념은 1920년대 옛 소련에서 처음 제시됐으 며 이후 독일과 일본에서 1970년대부터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장 비가 개발돼 왔다. 최근에는 광증폭기로 이 미약한 빛을 100만 배 이상 증폭할 수 있어 마침내 ‘생명의 빛’이 기계로 관찰되 기 시작했다.



 이 빛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. 생명체의 기본단위인 세포다. 세포는 미토콘드리아라는 ‘소형발전소’에서 활동에 필요한 에 너지를 공급받는다. 이때 미약하나마 가시광선이 나온다는 것.



 소 교수는 “이는 외국 연구자들에 의해 실험실에서 동물이 나 식물 세포를 통해 증명된 사실”이라며 “인체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해 3년간 실험을 진행해 왔다”고 설명했다. 이 연구는 산업자원부 ‘산업기초기술개발연구사업’의 지원으로 이뤄졌다.



 그는 인체에서 가장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부위인 손을 주 목했다. 먼저 햇빛이 없는 어두운 실내에서 1시간 정도 가만히 ‘적응과정’을 거친다. 햇빛에 포함된 광자가 몸에 영향을 미 치지 않도록 기다리는 시간. 이후 두 손을 소 교수팀이 개발한 ‘생체광자 진단장치’에 올려놓고 각각 3분씩 손바닥과 손등 을 대고 있는다. 흥미롭게도 정상인과 중풍환자, 심장질환자 등 환자 여러 명을 시험적으로 비교한 결과 왼손과 오른손의 광 자 발생량이 특이한 패턴을 보였다. 예를 들어 정상인은 손등 과 손바닥에서 나오는 수가 일정한 반면 심장질환자의 경우 좌 우 손등에서 발생하는 수가 크게 달랐다. 이 연구내용은 1년 전 국내에서 특허가 출원된 상태.



 소 교수는 “신체 장기의 일부가 손상될 경우 그 부위의 세포 들이 이를 치료하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소모한다”며 “이 과 정에서 많은 광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”고 말했다. 또 환 자는 기능적으로 좌우 균형이 깨지기 쉽기 때문에 좌우 손등과 손바닥의 광자 방출에 영향을 미쳐 독특한 패턴이 나타난다는 해석이다.



 이 연구논문은 네덜란드에서 발행하는 세계적인 학술지 ‘광 화학 및 광생물학회지’에 조만간 게재된다.



 소 교수는 “신체 전체를 관측할 수 있는 장비를 개발한다면 사람마다 제각기의 ‘후광’을 볼 수 있을지 모른다”고 말했 다. 수양을 많이 쌓아 심신이 안정될수록 마치 성자의 후광처 럼 은은한 빛이 관찰되지 않을까 하는 가설도 세워봄직하다.



 포천중문의대 대체의학대학원 전세일 원장은 “이번 연구결과 를 임상에 적용하면 혈압계나 체온계처럼 간단하면서도 종합적 인 건강정보를 얻을 수 있는 진단장치가 등장할 것”이라고 말 했다.(소광섭 서울대교수 연구)



김훈기 동아사이언스기자 wolfkim@donga.com

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